![]() 제주특별자치도, 지역 국회의원과 당정협의회 개최 |
이날 협의회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김한규․위성곤․문대림 국회의원이 참석했다.
협의회에서는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도정 주요 현안을 중심으로 2026년 국비사업과 국정과제 후속 대응 방향,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추진 등이 다뤄졌다.
제주도는 전국(장애인)체전 대회 운영 및 시설 건립․개보수, 제주수산물 활어차 운송비 지원사업, 제주형 공공배달앱 활성화 지원,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개최 등 내년 국비 예산 확보가 필요한 사업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오영훈 지사는 “정부 국정과제에 ‘지역주도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지원’을 포함해 제주도가 제안한 다수 정책이 반영됐다”며 “지금까지는 지역 공약으로만 제시됐던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국가 의제가 될 수 있는 여러 정책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어 “도정이 그동한 추진해 왔던 각종 정책이 이재명 정부의 정책 기조와 방향에 부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국정과제와 지역공약에 반영된 주요 과제들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내년 국비로 제출된 사업들의 예산 확보와 국회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제주도가 어떤 정책과 예산으로 도민들에게 다가서야 하는지 논의하는 자리가 의미 있다”며 “여당 지자체장과 국회의원이 의견을 모으고 힘을 합치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성곤 의원은 “이재명 정부가 새롭게 출발한 만큼 지방정부가 중앙정부 정책을 기초 단위에서 실현하는 역할이 확대되기를 바란다”며 “2035 탄소중립 도시 등 제주에 도움이 되는 사업들을 대통령의 공약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협력․추진해 가겠다”고 말했다.
문대림 의원은 “제주도가 국정운영 중심에 서려면 그 논리와 명분을 함께 개발해야 한다”면서 “국정과제 7대 공약 15개 추진과제를 세부적으로 사업화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어내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제주도와 지역 국회의원들은 국정과제 및 지역공약과 연계해 내년 주요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국비 확보와 제도 개선에 협력하기로 했다.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와 관련해서도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제주도는 9월 17일 더불어민주당과 예산정책협의회를 열어 중앙당 지도부와 함께 내년도 국비 확보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당정 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