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생명력을 살리는 정책, 농식품바우처 서귀포시 동홍동 주무관 김형빈 정보신문 jbnews24@naver.com |
2025년 04월 27일(일) 10:54 |
![]() 서귀포시 동홍동 주무관 김형빈 |
그런데 그 뿌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은 종종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맥락에서 농식품바우처 제도는 단지 복지정책을 넘어서, 농업을 지키고 살리는 정책으로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바우처는 저소득층에게 국산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제공하는 제도다. 복지 관점에서 보면 취약계층의 건강한 식생활을 돕는 정책이지만, 농업 현장에서 보면 ‘농산물 소비 기반’을 확대하는 중요한 유통 정책이다. 바우처가 공급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더욱 전략적이다.
농업은 생산만으로는 지속가능할 수 없다. 생산된 농산물이 제값에 팔릴 수 있는 구조가 있어야 하고, 그것이 지역 내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유통 통로가 필요하다. 농식품바우처는 이 구조를 마련해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지역 로컬푸드 직매장, 전통시장 등을 중심으로 한 바우처 사용은 지역농산물 소비 촉진과 소농·고령농의 안정적 판로 확보라는 효과를 함께 가져온다.
주민센터에서 농업을 담당하다 보면, 지역 농가의 고민이 단순히 “무엇을 재배할까”가 아니라 “누가 사줄 것인가”로 옮겨가고 있음을 자주 느낀다. 시장이 불안정하고, 소비자와 생산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농업은 점점 더 지속 가능성을 잃는다. 농식품바우처는 이 거리를 좁히고, 농업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국 복지는 사람을 위한 것이고, 농업도 사람의 삶을 지탱하는 산업이다. 그 둘이 만났을 때 우리는 지속 가능한 농촌과 균형 있는 지역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농식품바우처가 ‘복지 정책’으로만 분류되기보다, 농업을 중심에 둔 지역 순환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더 적극적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정보신문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