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민선 8기 제주도정 핵심 정책 관련 도민 여론조사 분석 결과 발표
검색 입력폼
 
사회

제주연구원, 민선 8기 제주도정 핵심 정책 관련 도민 여론조사 분석 결과 발표

생활 밀착형‘맞춤형 정책’도민 체감도 높아
소상공인 지원·가치통합돌봄·청소년 정책 등 만족도 70% 상회

[정보신문 = 김금덕 기자] 제주연구원(원장 유영봉)은 민선 8기 출범 3주년을 맞아 그동안 제주도정이 추진해 온 핵심 정책에 대한 도민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향후 정책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도민 인식 조사 연구는 2025년 7월 7일부터 15일까지 도내 거주 만 18세 이상 도민 중 지역·성·연령별 인구비례 할당 방식으로 표본 추출된 1,01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모바일웹과 전화면접 조사 방식을 병행하여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리얼미터에서 실시하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조사 결과, 민선 8기 제주도정이 추진해 온 핵심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종합 만족도는 66.0%로, 도민 10명 중 6명 이상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만족 평가 비율은 28.8%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정책 만족도를 100점 기준으로 환산한 값은 57.0점이었다.

개별 질문으로 조사된 주요 사업별 만족도를 보면,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발행 등 ‘소상공인 지원 정책의 지역경제 활성화 도움 여부’에 대해서는 73.6%가 긍정 평가(매우 만족 29%, 대체로 만족 44.6%)를 보였다.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부정적 평가는 20.9%였다.

생애주기별 복지정책으로 추진 중인 ‘제주가치 통합돌봄제도 운영이 도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75.0%가 긍정 평가(매우 만족 21%, 대체로 만족 53.9%)를 보였다. 불만족 평가는 18.5%였다.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70% 이상의 긍정 평가를 보였고, 7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80.3%로 가장 높게 나타나 노인 복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향상 효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도정이 첨단 미래산업으로 내건 ‘항공우주산업 기반 구축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56.0%가 긍정 평가(매우 만족 16.8%, 대체로 만족 39.2%)를 보였다. 부정 평가는 33.5%, 모름/무응답의 유보층은 10.5%였다. 연령대로 보면 20대 이하(만 18~29세)에서 긍정 평가가 69.4%로 가장 높은 반면 30대에서는 45.1%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청소년 대상 버스요금 무료와 무상급식 단가 인상 등의 정책이 청소년 복지 향상에 미치는 기여도에 대해서는 76.2%가 긍정 평가(매우 만족 29.3%, 대체로 만족 46.9%)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불만족 평가는 20.4%였다. 정책 수혜자가 포함되는 20대 이하의 만족도가 84.2%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도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탄소중립 추진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가 59.8%(매우 만족 17.2%, 대체로 만족 42.6%)로 절반을 웃돌았으며, 부정 평가는 30%(대체로 불만족 22.0%, 매우 불만족 8.0%)로 조사됐다. 20대 이하와 30대, 40대, 50대 연령대에서 모두 60%대 이상의 만족도를 보인 반면 70대 이상에서 만족도가 40%대로 낮아졌다.

이처럼 주요 사업에 대한 도민 만족도 평가 결과 도민들의 실생활과 직결되는 복지·경제 관련 정책에 대해 70%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면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별 정책이 지역상권 소비 진작과 보편적 돌봄 확대, 잠재적 일자리 창출, 교통비 부담 경감 등 실질적으로 피부로 체감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확인되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도민 여론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정책별 ‘만족도-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와 제주가치 통합돌봄 제도, 소상공인 지원 확대 등의 정책이 ‘유지강화’ 또는 ‘지속관리’가 필요한 핵심 성과 사업으로 분류되는 등 도민 일상에 직결되는 생활 밀착형 정책일수록 성과 체감도와 도민 수용성 및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제주도가 추진 중인 주요 사업에 대한 도민 의견 조사도 실시됐는데, 현재 2개 행정시 체제를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등 3개 기초자치단체로 설치 추진하는 데 대해서는 찬성이 46.3%로, 반대 34.9%보다 11.4%p 높았다. 모름/무응답은 18.9%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이하와 30대, 40대, 50대에서는 모두 제주형 3개의 기초자치단체 설치 추진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반면 60대는 찬성(40.2%)과 반대(42.1%)가 팽팽하게 맞섰고, 70대 이상에서는 반대(41.4%)가 찬성(26.8%)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동지역과 읍면지역에서 찬성이 반대를 웃돌았다. 이어 찬성 응답자를 대상으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출범 시기를 물은 결과, 63.0%가 2026년 민선 9기 출범 시기를 1순위로 꼽았다. 2030년(민선 10기 출범)은 27.4%, 모름/무응답은 9.6%였다.

한편, 도정 운영 전반에 대한 평가에서도 긍정 응답이 48.7%로 부정 응답(33.1%)보다 15.6%p 높게 나타났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지역 현안 및 숙원사업 해결 노력(38.8%)’과 ‘도민 소통 및 의견 반영(37.9%)’이 1, 2순위로 꼽혔다.

제주연구원은 “이번 조사는 단편적인 성과 평가를 넘어, 정책 시행 효과를 도민이 어떻게 체감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유의미한 결과”라며, “도민 체감형 정책이 성과 만족도와 정책 수용성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으로 분석된 만큼, 앞으로 복지와 경제 안정은 물론, 자치분권 확대와 도민 소통 강화를 통해 도민 신뢰도를 높이는 정책 설계와 도정 운영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도정 주요 정책이 도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주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진단된 만큼, 향후 도정 정책 설계 시 이번 도민 인식 분석 결과를 유의미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연구에 나설 계획이다”고 밝혔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